우회전 신호 썸네일형 리스트형 교통안전 상식 ② 우회전하는 방법, 우회전 상식에 대한 운전을 하다 보면 뒷차에 대한 신경을 안 쓸 수가 없는데 그 중 대표적인 구간이 바로 우회전 구간이다.일부 도로에서는 우회전 전용 구간이 따로 있기도 하지만 대부분 도로는 우회전 전용만 있는 곳이 드물고 보통 직우 표시가많다. 그러다 보니 어떤 차량은 우회전, 어떤 차량은 직진을 하려고 하다보니 구간 정체가 벌어지거나 뒷차량이 빵빵 클락션을 울려대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 또한 규정에 맞게 우회전을 한다고 해도 바로 횡단보도를 마주하게 되므로 정지를 해야 하는데 이런 경우도 차량의 크기 때문에 뒷차들이 진행을 못하고 정체가 되곤 한다. 정부에서도 이런 교통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없애기 위해 횡단보도를 3M 정도 더 이전해서 그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는 하는데 언제쯤 모든 도로에 적용될 지는 미지수이.. 더보기 2021년부터 정말 주의해야 할 운전 습관, 꼭 알아두어야 할 것 있다. ※ 본 포스팅은 교통 규칙에 대한 안내를 위해 D포털 1boon 삼성화재 다이렉트 게시글에서 이미지를 가져 온 포스팅입니다. 해당 이미지는 모두 삼성화재 다이렉트 귀속 이미지이며, 별도로 표기하진 않겠습니다. 개인의 권리와 인권이 강화 된 요즘 사회에서 운전을 하다 보면 예기치 못한 상황에 직면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도로교통법이나 교통 규칙의 위반 여부를 떠나 여러 사람이 다양하게 어울려 살다보면 규칙보다는 편의와 상황에 맞는 융통성을 요구하는 경우가 더러 있기 때문이다. 물론 "직진,우회전 차선"이라 해도 굳이 양보의 의무는 없기 때문에 이를 비켜주기 위해 정지선 침범, 차선 위반을 하면 과태료 대상이 되곤 하는데 어찌보면 참 억울할 수 있다. 또한 국내 도로 표시나 이정표가 지차제 감독 관할이다 보..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