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카공족

카페 진상 손님은 근절이 안되나, 권리만 찾는 대한민국 "호의가 계속되면 그것이 권리인 줄 안다."라는 말이 있다. 21세기 들어서면서 개인의 권리, 인권 운동 등 사회 인식이 개선됨에 따라 세상은 더 살기 좋은 공간이 되기보다는 이기주의가 만연해진 더 각박해진 세상이 됐다. 나는 개인적으로 사회가 이렇게 된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지나친 인권 인식"에 있다고 본다. 상대방을 배려하기보다는 "내 인권"이 더 소중하기 때문에 남을 생각하지 않고 당장 내가 편하고 내 인권이 존중받기만을 바라고 기대하는 현상이 짙어진 것이다. 그게 과연 올바른 인권이고 존중일지는 한번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모든 민주주의에는 권리에 책임과 의무가 따르기 마련이지만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권리 우선 주의"가 더 강하다. 한 마디로 잘못 된 민주주의 의식이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민.. 더보기
"죄송한데 이야기 계속할거면 1층으로.." 노답 카공족들 '카페에서 공부하는 부류'를 카공족이라 한다. 언제부터인가 카페에서 공부를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000년대 이전만 해도 공부는 학교나 집 또는 독서실, 도서관 등에서 하는 것이었지만 공무원 열풍이 불면서 시원하고 쾌적한 공간을 자랑하면서 화장실, 음료 등 각종 편의시설이 갖춰진 카페가 공부하는 분들의 핫플레이스로 떠오른 것이다. wifi 잘 터지겠다, 충전 콘센트 갖춰져 있겠다...그리고 주기적으로 자리까지 치워주니 그야말로 안성맞춤인데다 무엇보다 음료 1잔 값이면 몇 시간이고 앉아있을 수 있으니 말이다. 카공족이 늘어나면서 한때는 프랜차이즈 카페들도 카공족 잡기에 나서긴 했었다. 꾸준히 찾아주니 카페들로서도 놓치기 아쉬운 고객층이었던 것.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카페들도..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