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이슈

동덕여대 피해복구 비용, 오세훈 서울 시장 " 지원 고려 안한다. "

공학전환을 고려했다가 학생들의 점거 사태로 번진 동덕여대, 피해 추청금액만 무려 54억원에 달한다고 한다.

 

 

 

공학 전환을 고려했다가 학생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던 동덕여대.

출신 연예인들까지 나서 " 옳지 못한 행동 ", " 지지한다. "는 의견이 대립하기도 했다. 여대 측은 학생들의 반발에 " 전환 여부를 철회한다. "라며 일단 물러서는 모양새를 취했다.

공학으로의 전환 역시 일장일단이 있는만큼 보다 신중히 검토했으면 한다. 더불어 학생들 역시 자신들의 입장만 고수하지 말고 대학, 인근 상권 등을 고려해 입장을 밝혔으면 좋겠다.

또한 생각이 다르다 해서 무조건 폭력적인 형태의 시위는 옳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서울시 측 " 지원 생각한 적 없고 할 생각도 없다. " 입장

 

사태는 대략 일단락이 됐지만 그 후폭풍은 생각보다 심각했다. 일단 대학 시설물들이 대부분 훼손된데다 예정되어 있던 행사가 무단 취소돼 위약금까지 변상해야 하는 지경에 이르렀다는 것.

대학 측은 " 훼손된 부분이 많고 이번 일에 외부인이 관여했다는 의혹이 있어 수사가 필요한 상태 "라며 " 선량한 학생들의 피해를 막고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 "이라고 설명했지만 피해복구 비용이 만만찮다.

인터넷에 올라 온 한 시설물 복구 업체 관계자에 따르면 " 생각보다 심각한 상태이다. 복구하는데 시간은 물론 비용까지 오를 수 밖에 없는 구조 "라며 복구에 상당한 난제가 있음을 드러냈다.

 

 

 

동덕여대 시설물 복구비용 지원에 대해 " 적절하지 않다. 생각하지 않는다. "라고 밝힌 오세훈 서울시장

 

 

 

현재 언급 된 복구 비용은 약 54억원.

이러한 사태가 학생들의 폭력 시위로 인해 벌어진만큼 복구 비용 문제를 두고 대학 측과 학생들 사이에 설전이 이어졌었다.

27일 광운대학교에서 벌어진 총학생회 초청강연에 오세훈 서울시장이 참석했는데 이때 한 학생이 동덕여대 사태에 대해 시 차원에서 지원할 부분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고 한다.

 

이에 오세훈 시장은 " 공공이 부담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 "라고 밝히며 " 폭력적인 형태로 인해 기물 파손이 발생 한 일이다. 이는 법 위반, 원인제공을 한 분들이 책임지는 것이 맞다고 본다. "라며 동덕여대 복구비용에 시가 지원 할 생각이 없음을 시사했다. 더불어 김병민 정무부 시장 역시도 " 어떤 경우라도 폭력이 정당화 될 수는 없다. 지원 요청이 들어온 적도 없지만 들어왔다고 해도 정당화 해주는 일은 없을 것 "이라고 못박았다.

한 마디로 서울시는 시설 복구 지원에 동참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한 셈이다.

 

 

 

공공 비용으로 복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  일만 터지면 국고로 지원하는 것이 당연시 된 사회 풍토가 문제

 

최근 우리나라는 무슨 일만 터지면 국가가 책임져주는 것이 당연시되고 있다. 물론 국민을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는만큼 국민들의 피해와 불안에 정부가 나서서 지원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다만 그 원인과 결과에 대해 정작 일을 만든 사람들은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이다.

학생들의 뜻은 알겠지만 사실 꼭 폭력적인, 과격 시위로 맞서야 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든다.

충분히 학생회나 학생들이 " 공학 반대한다. "는 입장문을 내는 것, 수업 거부, 등교 거부 등 다양한 비폭력 시위 방법이 있음에도 건물을 점거하거나 시설물을 훼손하는 행위를 한 부분에 대해서는 쉽게 납득이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