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이슈

지역 축제 바가지 상술, 원인은 지자체가 하고 비난은 상인에게 전가하고

제주 벚꽃축제의 노점에서 판매 된 순대볶음, 25000원치고는 부실하다. ㅣ이데일리

 

 

 

추운 겨울이 가고 완연한 봄의 기운이 물씬 풍기는 요즘 전국에서 축제가 서서히 열리고 있다.

지역 축제는 각 지역을 대표하는 관광상품이며 지역을 알리는 홍보수단이지만 사실 국내 지역 축제는 볼거리도,

음식도, 즐길거리도 마땅하지 않은게 대부분이라 국내 관광객들조차 외면하는 축제들이 꽤 있다.

턱없이 부족한 주차장, 비위생적인 편의시설, 비싼 음식 등등 국내에서는 " 이 돈주고 노느니 차라리 동남아를 가

는게 낫겠다. "라는 웃지못할 조소도 나오는 게 현실.

 

최근 온라인에서 제주 벚꽃축제 관련 음식 사진이 올라와 또 한번 국내 지역축제의 바가지 상술에 대한 논쟁이 불

거지고 있다. 글을 올린 네티즌은 " 순대...6개 들었다. "라며 황당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심지어 이 한 접시의 가격은 25,000원. 양은 1/5 수준이지만 가격은 2배 정도 비싼 편이다.

 

 

 

지자체는 바가지 근절 약속하지만 매년 계속되는 바가지 상술, 대체 이유는?

 

지역 자치단체는 매년 " 죄송하다. 재발방지 약속드린다. "라고 고개를 숙이지만 지역 축제의 음식 상인들의 상술

은 여전하다는 게 문제이다. 물론 상인들도 할 말은 있다.

" 한 철 벌어 먹고 사는데... ", " 관광지에 와서 돈 아끼면 되나? "같은 정신 못 차린 상인들도 있지만 대다수의 상인

들은 " 자릿세 빼고 나면 남는 것도 없다. "라며 울상을 짓는다.

심지어 지역 축제임에도 지역 상인들은 별로 없고 모두 외지에서 온 상인들이라고 하니 그야말로 지역 축제라는

이름부터 무색해진다. 지역 특산 음식은 없는 천편일률적 음식들을 가지고 말이다.

 

 

2023 전북 남원 춘향제, 경주벚꽃, 여의도 벚꽃 축제에서 판매됐던 음식들, 가격 대비 부실한 음식이 대부분이다.

 

 

 

역시 문제는 이른바 '자릿세'이다.

지역 축제는 각 지자체에서 기획하고 시행을 하지만 담당 공무원은 고작해야 1~2명.

축제에 관련 된 모든 문제를 도맡아야 하다보니 지자체는 대행사를 선정해 일괄적으로 운영을 맡기는 구조라고.

문제는 이 과정에서 소위 부스별 자릿세가 존재할 수 밖에 없고 이 가격이 무려 200 ~ 300만원선.

심지어 좋은 자리는 무려 600만원 짜리도 있다고 한다.

 

며칠밖에 안하는 축제이다 보니 상인들은 자릿세+이익을 남기기 위해 터무니없는 가격을 산정할 수 밖에는 없다

고 항변한다. 또한 규정상 지자체는 상인들의 가격 산정에 관여할 수 없기 때문에 사실 축제의 바가지 상술은 근

절되기 어려운 구조라는 것이 현실적인 이야기이다.

상황이 이러하니 지자체는 매번 형식적인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을 남발하고 상인들은 여전히 바가지 상술을 고집

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 지역 홍보 및 전통적인 축제에 자릿세가 왠 말, 특색이나 있으면서 그러면 말도 안해

 

국내에서 전통이 있는 축제가 얼마나 될까.

그나마 비슷 비슷한 컨셉트의 축제가 열리면서 숙박료도 비싸고, 주차장은 부족하고 음식도 비싼 볼품없는 축제

임에도 무슨 기획과 일감이 그리 많다는 것인지.

그나마 차라리 특색이나 있고 볼거리나 풍성하면야 1년에 1회 뿐인 축제이니 과감히 지출한다고 쳐도 말이다.

지역을 홍보하고 알리는 것이 축제의 기본적인 목적이 아닐까?

그런데 거기서 수익을 내겠다고 자릿세 명목으로 부스비를 과도하게 책정하니 자연히 바가지 상술은 나올 수 밖

에 없을 것이다. 일부 상인들의 욕심도 있겠지만....

 

 

 

바가지 상술의 원인은 지역축제를 관할하는 지자체에 있지만 비난은 상인들에게만 쏠리는 현실이다.

 

 

 

국내 관광산업의 몰락은 이러한 지역자체단체들의 무지에서 비롯된다고 본다.

단순히 지역의 이미지 하락이 문제가 아니라 전국 축제의 이미지와 직결되니 말이다. 솔직히 양심적으로 지역축제..

재미없다. 비싸고 복잡하고...

무조건 저렴하게 축제를 기획하라는 뜻은 아니다. 당연히 부지 선정과 행사 진행을 위한 필수적인 경비는 소요가 될

테니 비용도 받아야 정상이다. 문제는 적정가가 아니라는 점이다.

원인은 자치단체가 제공하고 있는데 비난만 상인들에게 전가되는 현실...이러니 근절되지 않는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