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회 이슈

다이어트 보조제를 구매하다. '칼로바이 안티스트레스 나이트 슬림케어' 칼로커트(좌) / 칼로바이(우), 다이어트는 늘 힘들다. 1. 고민의 시작 다이어트가 힘들고 어려운 싸움이라는 건 아마 남여,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다들 알 것이다. 찌우는 건 일도 아닌데 빼는 건 정말 엄청난 인내와 자제,절제의 싸움이니까. 2년 전부터 살이 급격히 불어나기 시작했다. 물론 그만큼 먹고 안 움직인 내 부주의가 원인이지만... 어느 정도 핑계를 대보자면 나는 운동매니아다. 30대 중반까진 살이 찐 적은 있어도 그 상태를 유지한 적이 없다. 오죽하면 가족들도 놀랄 정도니까. 하지만 한국 사회에서 직장에 다니면서 체형을 유지하기란 굉장히 어려운 일이다. 툭 까놓고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다. 평균 61~65kg 정도를 유지하던 내게 이 인생 최고의 몸무게는...버거웠다. 그래서 다이어트를 다시 해.. 더보기
암호화폐, 증권 주식처럼 변화...곧 새로운 시장 형성될 것 16~17년도 한국은 암호화폐의 광풍이 불었었다. / 출처: 인터넷 비트코인이 등장한 지 10년 후. 전 세계는 그리고 대한민국은 암호화폐의 광풍이 불었다. "그게 뭐야?"라고 취급되던 가상화폐(cryptocurrency)는 코인 시장이라는 새 투자 시장 시대를 열었다. 특히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의 시작이라는 비트코인은 대장주라는 이름으로 불리우며 급격히 가치가 상승했고 더불어 이더리움, 이오스, 리플 등 코인들이 합류하면서 비트 코인은 16년도 말에는 2000만원이 넘는 가치를 자랑하며 많은 신흥부자를 탄생시켰다. 실제하지 않기에 코인은 "가상" 또는 "암호"의 화폐로 불리고 또 그 실체에 대해 의구심을 품는 이들도 있었지만 광풍을 꺽기엔 무리였다. 하지만 무리한 열기와 또 그 열기에 편승해 이익을 편취.. 더보기
광복 74주년의 대한민국, 친일청산의 현 주소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은 서울의 모습 지금은 이런 단어를 잘 안 쓰지만, 아마 1980년대생들까지는 들어 본 적이 있는 단어가 있다. 바로 이조시대(李朝時代)라는 단어를 말이다. 과거로부터 한국의 도예 기술은 세계 최고였고 특히 고려청자와 조선 백자가 유명했는데 그 기술은 지금 대가 끊겨 그 어떤 한국인도 그와 같은 도자기를 제작할 수 없다고 한다. ( 일부 왜란 때 일본으로 끌려간 도공들의 후예만이 기록으로 전해진다고 한다. ) 아무튼 예전에는 조선백자를 이조백자라고도 불렀는데 여기서 '이조'란 - 이씨 왕조의 조선 -를 말한다. 즉, 이조시대라고 하면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한 시점부터 일제에 나라를 찬탈당한 시대까지의 시기, 즉 조선 왕조를 말하는 것인데 이 이조라는 단어는 일제가 조선.. 더보기
무협소설 | 패왕의별 패왕의별 / 강호풍 지음 가난한 청년 천류영은 표국에서 일을 하는 쟁자수이다. 표국 무사들의 선택에 사사건건 반대만 하다 찍혀버린...그런 그를 이해하고 동정해주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러던 그가 위기에 빠진 동료들을 구하게 되고, 그는 무림의 일에 관여하게 되어버린다. 패왕의별이 뜨면 무림을 통일할 인재가 태어난다고 하는 전설. 이게 책의 주된 내용이다. 내가 좋아하는 게임 장르 중 하나가 무협이다. 웬지 무협 소설을 보고 있자면 그 배경 세계관에 나도 함께 들어가는 느낌이 든다. 불혹의 나이에 들어섰지만 아직도 하늘을 날고, 장풍을 날리는 등장인물들의 모습에 열광을 하는 걸 보면 난 아직 어른이 되려면 먼 듯한 기분도 든다. 사실 을 처음 접하게 됐을 때는 제목을 보고 볼 지, 말 지를 한참 고민했다..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