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산업 자체가 흔들리는 것은 아니지만 적신호가 켜진 것은 확실하다.
최근 국내 영화들이 대부분 흥행에 실패하면서 많은 영화들이 OTT플랫폼 서비스로 전환됐다.
적게는 수십억, 많게는 100억이 넘는 돈을 투자해 영화를 제작하지만 흥행의 갈림길은 냉정하다. 많은 영화감독들
은 이러한 사회현상에 대해 인정하면서도 달갑지 않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직접 비용을 결제하고 영화관을 찾
는 관객들의 입장에서도 할 말은 있다. " 너무 재미없으니까. "
너무 재미없는 영화 OTT로? 이것도 결국 문제로 떠오를 것
흥행에 실패한 영화들이 그나마 손해를 만회하기 위해 찾아드는 곳이 OTT라고 한다.
상영관에 영화를 걸어둘 수 있는 기간이 제한되어 있지만 OTT는 상대적으로 그 제한의 폭이 넓다.
무엇보다 어쨋든 운 좋게(?) 시청자들이 많이 봐줄지도 모른다는 기대감도 갖게 만드는 게 사실이다. 배우 김고은
을 앞세운 '대도시의 사랑법'은 130만의 손익기점에도 못 미치는 87만을 기록하면서 2월 10일 넷플릭스에서 방영
이 확정됐다. 제작비 125억의 송중기 영화 '보고타' 역시도 개봉 한달만에 넷플릭스로 전환된다.
보고타의 관객 수는 300만 손익기점에 1/6에도 못 미치는 42만이라고 한다.
송강호가 나온다던 '1승'은 개봉됐지만 어느새 극장가에서 사라졌고 류승룡 주연의 '아마존 활명수'도 현재 넷플릭
스에서 시청이 가능하다. 극장가에서 실패한 영화들이 그나마 손해를 만회하기 위해서 OTT행이 마지막 방편이지만
이러한 흐름도 전체적인 관점에서는 좋지 않다. 컨텐츠 보유량으로 승부를 하려는 OTT도 있겠지만 쓸데없이 재미
없는 컨텐츠만 방대한 OTT도 결국 사장 될 가능성이 있다.
재미없는 영화를 무조건 봐달라고 하는 건 한계가 있다. 사실 유명배우들을 전면에 내세워 엄청 재미있을 것처럼 홍
보를 하지만 막상 개봉을 하면 기승전결조차 엉망인 영화들이 수두룩하다.
배우들은 돈을 벌었겠지만 투자사, 배급사, 관객들은 그 엉망진창인 영화를 고스란히 감당해야 하는 셈이다.
간혹 소위 예술성을 높인답시고 어줍짢은 연출과 스토리로 무장한 영화들도 있다.
다양한 장르가 출시되는 것도 좋은 현상이지만 일단 관객들에게는 주말 데이트에서 한 주간의 피로를 날리고 싶어
하는 심리가 강하다. 기껏 주말 데이트로 극장을 찾았는데 티켓값도 못하는 영화들을 보라고 한다면 누가 좋을까?
극장가들 살아남기 위해서는 온라인화 시급, 문제는 관람료?
21세기에 극장들이 모두 사라진다는 보장은 없겠지만 대다수의 영화산업이 살아남으려면 비용 줄이기에 나설 수
밖에는 없다. 온라인화가 시급한 이유이다. 문제는 가격일 것이다.
1만~2만원을 결제하면 1개월간 무제한으로 시청이 가능한 OTT에 맞서려면 1편당 1만원이 넘는 금액으로는 경쟁
이 되지 못한다. 그렇다고 OTT에서 개봉을 하고 별도 요금을 받으려고 한다면 시청자들은 외면할 것이다.
만약 제작비 때문에라도 지금과 비슷한 요금을 받아야 한다면 보다 많은 이벤트가 필요할 것이다.
어차피 극장에 가서 보는 비용, 음료, 팝콘비보다는 집에서 보는 것이 훨씬 저렴할 것이다.
어떻게 관객들을 유혹할 지에 대한 방법의 고민이 절실해지는 시기이다.
'사회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본코리아 백종원 조리실 가스통 논란 확산, 벌써 초심 잃었나. (1) | 2025.02.04 |
---|---|
교통사고 분쟁 " 한문철 TV 안봐? ", 한문철 변호사가 갖는 영향력 (1) | 2025.02.03 |
더본코리아 빽햄 가성비 논란, 그의 선한 영향력을 한번 믿어보는 게 어떨지. (0) | 2025.02.02 |
백종원이 만든 빽햄, 상술논란에 백종원 해명 나섰다. " 대량 생산할 것 " (0) | 2025.01.27 |
트럼프 2기 출범 전야, 트럼프 당선인 " 4년간의 쇠퇴기는 끝났다. " 선언 (0) | 202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