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알아두면 유용한 정보

먹으면 몸에 좋은 음식 '강황' 우리는 몸에 좋은 재료나 성분이 함유 된 음식, 비타민제를 찾아서 챙겨 먹곤 한다. 잘 먹고 잘 자고 운동하는 것이 건강의 제일이겠지만 하루가 바쁜 현대인들에게 그런 삶을 살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이번에는 몸에 매우 좋다고 알려진, 그러면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식재료 '강황'에 대해 알아보겠다. 강황에는 '커큐민'이라는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성분은 강황 말고도 울금이라는 재료에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울금에 비해 강황이 최소 10배 이상 더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졌으니 굳이 울금을 찾아 먹지는 않아도 될 듯 하다. 울금과 강황의 차이는 어느 부위냐에 따라 결정되는데 뿌리가 강황, 덩이로 된 부분이 울금이라고 한다. 강황의 대표 음식 카레로는 제대로 섭취하기 어렵다? 그럼 어떻게 먹지? .. 더보기
콩국수의 유래, 여름철 서민들의 별미 여름철이 되면 각종 보양음식이 하나 둘 식당 메뉴에 자리를 잡는다. 복날에는 주로 삼계탕을 먹지만 가정에서는 콩국수를 말아 먹기도 한다. 나도 어릴 적 어머니가 "콩국수 해줄까?"라고 하셨지만 나는 콩국수를 싫어하기 때문에 먹지 않는다. 원래 면 음식을 싫어하는 편이다. 라면 빼고. 그래도 국물은 마시는데 시원하고 고소한 맛이 딱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언제부터 콩국수를 먹게 됐을까. 콩국수의 기록은 거의 없지만 조선 말기에 기록 있다, 잣국수와 깻국에서 유래? 흔히 알려진 이야기로는 잣국수가 콩국수의 유래라고 알려졌지만 기록을 잘 살펴보면 이는 조금 틀린 듯 하다. 1800년대 말엽에 작성 된 '시의전서'에 그 기록이 있다고 한다. 작성된 것은 말기이나 현재 전해지는 건 1911년에 발행 된 .. 더보기
현대그룹과 현대자동차 그룹은 다른 회사이다. 2020 도쿄 올림픽 양궁 부문 금메달을 석권한 대한민국. 양궁은 역대 올림픽에서 대한민국의 메달밭으로 유명했고 지금도 그러하다. 세계 양궁연맹은 대한민국의 독주 체제를 막기 위해 여러 번에 걸쳐 규정을 변경하는 등 노력을 기울였지만 대한민국 양궁 대표팀은 그럴 때마다 보란 듯이 메달을 획득하면서 세계 No.1의 기량을 선보이고 있다. 오죽하면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발전이 올림픽 금메달보다 더 하기 어렵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양궁은 대중적인 스포츠는 아니지만 탄탄한 시스템을 갖춘 대한민국의 비인기 종목이자 응원 인기 종목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러한 선수들, 협회, 국가의 지원도 있지만 그 이면에는 또 다른 대기업의 전폭적인 후원이 있기에 가능하다고 한다. 바로 30년이 넘게 양궁 분야에 지원과 투자.. 더보기
여름에는 자동차 예열 필요없다? No. 필요하다. ※ 본 포스팅의 이미지와 내용은 의 글을 인용한 것입니다. 차를 처음 사 본 것도 아니고 초보 운전은 아니지만 차알못에 가깝다. 말 그대로 운전도 나이에 맞게 제법 오래했고 국산, 외제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차종을 운행해도 해봤고 여러 나라에서 운전을 하기도 했지만 그렇다고 내가 차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갖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말 그대로 '운전만 할 줄 알지, 튜닝이고 정비고 차알못'에 가깝다. 사실 나는 차를 막 꾸미고 개조하는 그런 타입은 아니다. 대체적으로 핸들커버, 페달 커버, 방향제 정도만 구입을 하지 이것 저것 막 장착하고 바꾸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차는 그냥 이동 수단일 뿐이고 가끔 울적한 날 드라이브를 하는 용도이기 때문이다. 외국에 거주할 때에는 워낙 대중 교통이 안되어 있고 또.. 더보기
열대야 취침 가이드, 적정 온도보다 2~3도 높여야 건강하게 숙면 여름은 4계절 중 낮의 시간대가 가장 길기 때문에 기온이 높은 계절이다. 우리는 이를 여름이라 부르며 자고로 여름은 더워야 제 맛이다. 하지만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해 더워도 너무 더워 걱정이다. 옛부터 흔히 않은 4계절을 보내던 우리 나라는 이제 봄,가을이 짧아지고 여름과 겨울이 길어지는 이상 현상이 일반화되고 있다. 더운 여름밤이 되면 가족들과 인근 공원으로 나가 돗자리를 펴고 수박을 먹으며 더위를 극복하거나 다같이 거실에 자리를 펴고 누워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나란히 쐬며 공포 영화를 보던 것이 우리네 일상이었다. 코로나가 극성인 요즘에는 외부로 나가 잠자기를 청하기도 무리이고 설령 가능하다 해도 눈치가 보이기 일쑤이다. 습하고 더운 열대야 시작, 만약 온도가 37도 이상일 경우 선풍기는 무용지물 열.. 더보기
1871년 조선 최초 사진, 조선 후반기를 보면 대한민국의 특성이 보인다. 안타까운 조선의 후반기 1870년대 당시 미국은 지금과는 달리 우리와 우호적인 관계가 아니였다. 많은 사람들이 당시 조선이 봉건주의였기 때문에 굉장히 미개하고 국제 정세에 아둔했다고 생각하기 쉽상이지만 사실 그 당시에는 대부분의 국가가 전통적인 봉건제를 유지하고 있었다. 1900년대 후반 조선의 힘이 약한 것은 물론 세계 정세를 읽지 못한 부분도 책임이 있다. 청을 최고로 여기고 일제를 무시했으며 무사태평안일주의를 유지한 것도 분명 문제지만 가장 큰 것은 바로 세도정치가 문제였다고 나는 생각한다. 제 아무리 권력을 가진 국왕이라 할지라도 일개 사람에 불과했으며 국가의 주요 보직을 섭렵한 여러 대신들이 단합해 왕을 핍박한다면 임금이라 해도 어쩔 수 없던 것이 바로 봉건제의 문제점이다. 1871년 신미양요가.. 더보기
첫 사랑. 이뤄지지도 않는데 잊혀지지도 않는 사랑 어디선가 본 기억이 있는데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사랑을 할 준비가 된다고 한다. 물론 사랑이라 해서 꼭 육체적인 행위가 동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맞는 말 같기도 하다. 다들 한번쯤 첫사랑에 대한 기억, 추억, 아픔 등이 있을 것이다. 다만 이 첫사랑에 대한 기준은 사람마다 제 각각 다르기 때문에 함부로 남의 첫사랑에 대해 재단, 기준을 제시 할 필요는 없다. 그냥 그런가보다 하면 된다는 말이다. 내가 첫사랑에 대한 이 포스팅을 카테고리로 분류한 이유는 어쨋든 이성적인 이야기를 다루다 보니 그런 것이지, 내 첫사랑에 대한 기억을 선정적으로 풀어내고 싶은 것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첫사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며 또 대부분 그러하다. 그리고 사귀었던, 사랑했던 이성들 중 몇몇은 기억에서 지우더라도 첫.. 더보기
연금복권 720 7등 당첨, 실수령액 등 알아보자 외국에 거주 할 때도 복권을 종종 구입했었는데 한국에서도 나는 복권을 자주 산다. 아니 매주 산다. ^^;;; 딱히 주식이나 도박에 사용할 자금도 없지만 그럴 배짱도 없기 때문에 복권만 구입하는 것이다. 매주 로또 1장 (5게임), 연금복권 5장을 구입해 매주 복권 구입에만 1만원씩 사용하고 있다. 지인들은 "일확천금을 노리는 거냐?","그 돈을 아껴라."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매월 4만원이 적은 금액은 아니지만 혹여 당첨이라도 되면 너무나도 좋은 일이니까 최소한의 투자(?)라고 생각하고 꾸준히 구입하고 있다. 주로 꿈을 꾼 다음 날 구입을 하기도 하지만 별 일이 없을 경우에는 복권 판매점을 지날 때 구입한다. 딱히 지정해두고 사는 숫자는 없고 로또는 자동, 연금복권은 주는대로 받는다. 가끔 "뒤에서 주세..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