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풍문으로 들은 이야기

대부분 호기심으로 시작했다가 중독되는 '마약', 그 부작용은 심각

마약 혐의로 인생 나락 간 연예인들

 

 

' 마약 '이라는 단어만 들어도 우리는 부정적인 이미지, 범죄, 패가망신 등을 연상한다.

영화를 통해 우리가 본 마약은 " 왜 좋은지 "는 모르겠는데 초기에는 공짜나 저렴하게 공급하다가 일단 중독이 됐다 하면 비싸게 파는 그런 약이다. 약이 없으면 하루도 제대로 못 사는 그런 인생을 영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볼 수 있다.

몇 년전 버닝썬 사태로도 부각됐었지만 최근 유아인 역시도 치료 외 목적으로 손을 대 논란이 일었고 가수 겸 배우로 활동했던 탑 역시도 마약으로 인해 사실상 연예계 생활을 은퇴했다.

 

과거 국내 연예인들의 마약 복용은 대체로 대마초, 필로폰이 전부였다. 전인권, 신동엽, 김부선, 이승철 등이 모두 마약 혐의로 큰 논란을 일으켜기도 했고 최근에는 유아인, 탑, 박유천 등 인기 정상의 아이돌이나 스타들이 프로포폴, 졸피뎀 같은 향정신성 물질에 손을 대 논란을 만들었다.

 

예전에는 공허함과 인기에 대한 강박, 창작의 고통을 마약으로 해소하려고 했다면 최근에는 그냥 하는 듯 하다.

물론 현대의 아이돌들도 인기나 활동에 대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손을 대겠지만 말이다.

 

 

 

마약은 뇌에 특히 치명적인 손상을 남기는만큼 애초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약류는 뇌에 치명적, 중독되면 회복되는 기간이 상당히 길어

 

연예인들이야 워낙 돈도 많고 사실 치료를 목적으로 한다면 얼마든지 접근이 가능하지만 일반인들에게 마약은 조금 거리가 먼 약품들이다. 또한 연예인만큼 세간에 잘 알려지지 않기 때문에 중독이 된 후에야 검거되거나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국내에 기관에서 운영되는 마약중독재활센터는 전국에 딱 두 곳 뿐이라고 하는데 중독자 수에 비해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라고 한다. 이에 최근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재활센터를 확대하겠다고 했지만 사실상 쉽지는 않다.

 

대개 일반인들이 마약을 접하는 계기는 지인들이라고 한다.

여자친구, 사촌, 직장 동료 또는 후배 등이다. 대부분 " 몸에 좋은 주사가 있는데 해볼래? " 또는 " 이거하고 나니 행복해졌다. 한번 해보라. " 등의 권유로 시작된다고 한다. 물론 마약류임은 알고 있지만 친한 지인이 하니 대체로 안전하다는 인식과 호기심 때문이라고.

 

대부분 무언가 잘못됐다라고 느꼈을 때는 이미 중독이 된 상태였다는 것이 중독자들의 공통 된 의견이다.

마약에 중독되면 일상생활이 사실상 불가능해지는데 약속, 중요한 일정이 있어도 무조건 집으로 귀가해 마약을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다가 대부분 인간관계가 끊어지고 직장을 잃게 된다고 한다.

재활센터를 통해 겨우 겨우 마약을 끊은 이들은 사회로 다시 나왔지만 누군가를 만나게 될 때면 경계심부터 생긴다고 하는데 마약은 일단 뇌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기 때문에 중독이 되면 회복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한다.

 

나도 20대 초반에 호기심에 해외에서 친구의 권유로 대마초를 한번 피워 본 경험이 있다.

솔직히 느낌도 별로였고 마약이기 때문에 혹시 처벌될까 겁이 난 것도 있지만 내가 해외에서 마약의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았던 가장 큰 이유는 마약에 대한 선입견 때문이었다.

초기에는 공짜, 싸게 주다가 중독되면 비싸게 판다는 그런 선입견 말이다. 우리 집이 부자도 아닌데 그러다가 집구석 풍비박산 날까봐 겁나서...^^;;;

 

 

마약에 있어 호기심은 없다. 한번의 호기심은 대부분 중독으로 이어진다고 한다.

 

 

| 마약에 빠지는 가장 큰 이유는 생활의 어려움 때문일 듯

 

마약에 대해 잘은 모르지만 개인적인 생각에 경제적 여력이 좋지 않은 일반 시민들이 마약에 빠지는 것은 대부분 생활고 때문인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 우리가 흔히 생활고라고 하면 당장 가스비나 공과금, 치킨 한번 못 먹을 정도의 경제적 위기만을 생각하는데 생활고의 진짜 의미는 '지금의 생활이 무너지는 것'도 포함된다.

 

국내 복지 시스템은 사실상 모든 것을 다 잃은 경우에만 겨우 지원을 해주기 때문에 사실 그 효력이 미미하다.

돈 문제, 부양 문제 등 정신적 스트레스가 폭증되면 대부분은 견디다 견디다 결국 무언가에 의존하길 바라는데 그게 마약일 수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재활센터의 건립도 중요하지만 국가 차원의 정책이 먼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말이 틀린 거 같나? 해외에 가보면 대부분 가난한 분들이 더 많이 마약에 중독되는 걸 볼 수 있다.

 

경제빈곤층으로 내려앉아야 혹독한 심사를 통해 지원을 하지 말고 내려앉기 전에 지원을 해줘야 한다.

이미 모든 것이 주저 앉았는데 지원해준다고 희망이 생길까.

무너지기 전에는 조금만 도와주면 회복되지만 주저앉은 다음에는 지속적으로 지원을 해줘도 일어서기 힘들다.

특히 대한민국 시스템과 사회 인식 속에서는.

멍청한 행정부와 선동에만 빠진 과반의당이 뭘 알겠냐만.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