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더 무비

노량 : 죽음의 바다 |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대장정을 마무리하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전투 ' 노량 ' l 2023.12.20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전투, 노량해전을 그린 영화 ' 노량 : 죽음의 바다 '를 보고 왔다.

김한민 감독이 만든 이순신 일대기 3부작 중 마지막 영화이며 이미 다양한 전쟁 영화를 제작한 바 있는데다 1편인 명량, 2편인 한산에 이어 이번 노량까지 고군분투한 감독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다.

사실 이번 영화 ' 노량 '은 이미 인터넷을 통해 " 별로였다. "라는 평이 주를 이룬터라 안 볼까도 했지만 그래도 이순신 장군의 업적을 그린 영화의 마지막 대미였기에 서둘러 예매, 메가박스 양주에서 관람했다.

상영시간은 152분으로 조금 긴 편이다.

 

 

 

 

 

 

 

 

주요 내용.

 

임진왜란 발발 후 7년간의 전쟁으로 조선은 물론 명나라 군사들도 상당히 지쳐있다.

왜군의 총수장이던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사망직전 자신이 죽으면 아들의 입지가 약해질 것을 우려, 철군을 명령하게 되고 왜군들은 철군을 준비하지만 이순신이 지키는 바다를 무사히 건너갈 자신이 없다.

이에 고시니군은 명나라 총독 진린에게 뇌물을 바치며 퇴각을 위한 진로 봉쇄를 요청하게 되고 더 이상의 전쟁은 무의미하다고 판단한 진린은 이를 수락한다. 하지만 이순신 장군은 " 이렇게 끝내서는 안된다. 어떻게든 적을 섬멸해야만 한다. "라며 봉쇄를 풀어줄 수 없다고 주장한다.

 

한편 고시니를 도와 이순신을 어떻게든 해치우고 싶은 시마즈는 고시니를 돕기 위한 출정을 하고 500척의 함선을 이끌고 

남해로 진출한다. 전세를 읽고 있던 이순신은 이에 대한 대비책을 세우고 노량과 관음포에서 왜선을 격침할 것을 다짐한다.

저자세로 나오는 진린의 부대를 뒤로 하고 조선군만으로 왜군과 일전을 각오한 이순신.

1598년 12월 16일 새벽, 이순신의 함대가 먼저 움직였다.

 

 

 

 

 

 

 

 

전편에 비해 배우들의 캐스팅도 그리 좋아보이진 않아

 

노량은 이미 한산을 제작하던 시점에서 거의 촬영이 끝났던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한산 개봉 이후 바로 3편격인 노량을 개봉할 수 없어 1년 뒤인 2023년에 개봉된 것으로 안다.

다만 명량 그리고 한산보다 노량의 연출력이 상당히 떨어지는 느낌이 있다. 또한 배우들의 연기력도 전편들에 비해 가히 압도적이라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부족한 느낌이 들었다.

 

물론 주연에 속하는 김윤식, 정재영, 백윤식 배우들의 연기력이야 이미 영화계에서도 정평이 나 있는 연기파 배우들이지만 최민식, 박해일에 비해 김윤식이 연기한 이순신은 뭐랄까...순도가 조금 떨어진다고 해야 하나.

일본어 연기를 몇 번 했었던 백윤식이 연기한 시마즈도 그렇고 정재영이 연기한 진린 총독도 외형적인 포스는 그럴 듯 했지만 일본어와 중국어 연기는 긴장감이 떨어진 듯 했다.

명량의 최민식, 한산의 박해일 역시 당시 촬영에 앞서 " 과연 내가 이순신 장군을 잘 그려낼 수 있을까. "라는 고뇌에 휩싸였었다고 하는데 김윤식 역시 이러한 딜레마적 문제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듯 하다.

 

 

 

 

 

 

 

 

웅장했지만 전편들에 비해 전투씬도 별로였던.

 

2014년 명량이 나왔고 2022년 한산이 개봉됐을 때만 해도 전투 장면은 그야말로 압권이었다. 개인적으로는 2편이었던 한산 당시의 전투 장면이 꽤나 감명깊었다고 생각한다. 실제 임진왜란이 벌어지고 있는 전장에 와 있는 듯한 느낌이 들 정도로 현실감이 있었고 웅장했다.

3편인 노량은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의 대미를 장식하는 영화였기에 제작비 면에서도 결코 적지는 않았을텐데 상당히 아쉽다는 생각이 들었다. ( 명량 180억, 한산 312억, 노량 406억 )

스케일은 웅장했지만 그 웅장함에 비해 전투 장면의 몰입도나 현실삼은 줄어들었다.

 

 

 

 

 

 

 

 

|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전투, 쓸데없는 연출이 극의 흐름을 방해하는 듯

 

실제로 이순신 장군이 노량해전에서 전사한 배경이나 원인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도 알려진 바가 없다.

그래서 영화 노량에서는 나름대로의 해석과 연출을 통해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을 그려내고 싶었는지 모르겠지만 솔직히 이는 김한민 감독의 쓸데없는 짓에 불과했다고 생각한다.

셋째 아들을 전쟁에서 잃은 아버지로서의 이순신과 나라를 구해내야 하는 장수로서의 이순신의 간극을 제대로 해석하지 못했고 우왕좌왕한 하는 듯 하다.

 

물론 실제 당시에 이순신 장군도 영화에서처럼 7년의 전쟁 속에서 잃은 동료들을 떠올리며 망연자실하거나 아들을 잃은 슬픔에 어떤 슬럼프에 빠졌었을 수도 있겠지만 영화 후반부로 갈수록 점점 무기력해지는 이순신 장군의 모습은 아마도 한국인들이 보고 싶은 모습은 아니였을 것이다. 실제 역사에서 이순신 장군은 노량 해전에서 전사했기 때문에 영화의 마지막은 사실 영화를 보지 않아도 누구나 알고 있었다.

무조건 국뽕에 차올라 성웅, 전쟁의 영웅으로 멋지게 전사하는 모습을 바랐던 것은 아니지만 영화 노량에서 보여 준 이해불가적인 연출은 정말 영화와 맞지 않았다고 본다.

 

마지막 부분에서 왜군 수장 시마즈가 귀를 틀어막으며 " 제발..저 북소리를 좀... "이라고 말하는 장면이 있는데 진짜로 듣기 싫을 정도로 오래도록 흘러나온다. 북소리 장면으로 마지막을 장식해버린...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를 그린 영화였기에 감사한 마음으로 영화를 관람했지만 진짜 이렇게는 앞으로 만들지 않았으면 좋겠다. 어떻게 한산보다 더 못 만들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