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꼰대의 삶

#. 오늘은 한글날입니다. 우리의 글을 소중히 생각합시다.

집현전의 모습

 

 

10월 9일은 한글날로 국경일이다.

한글날은 ' 훈민정음 창제와 반포를 기념하고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널리 알리는 데 그 목적 '을 두고 있다.

한글 창제에 대해 여러가지 설과 의견들이 존재하지만 세종대왕 그리고 세자였던 이향 ( 훗날 문종 )과 집현전 학자들의 노력이 깃든 것만은 사실일 것이다.

 

우리 고유의 글자인 한글은 당시 한자를 사용하던 시대에서 신분과 글을 몰라 억울한 일을 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신분과 경제적인 여건을 떠나 한자를 배우지 못하다 보니 방이 붙어도 이를 읽을 줄 모르는 백성들이 많았다.

사실 한자는 배우기 쉬운 글자가 아니다. 형태와 발음에 따라 그 뜻이 다르다 보니 모두 외워야 하고 없는 글자는 때때로 만들어 사용하다 보니 서로 의사 소통을 하는 것에도 문제가 많았다.

 

따라서 배우기 쉬워야 하고 의사 표현, 정보 전달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가 있었으며 글자당 표현할 수 있는 획수를 적용해 단어의 의미가 혼탁해지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었다.

그렇게 만들어진 것이 바로 한글인 것이다.

 

물론 조선시대에는 언문이라 불리며 천한 글자로 괄시를 당하기도 했지만 조정에서는 나라의 일을 알릴 때마다 한자와 한글로 된 내용을 함께 게재해 백성들도 나랏일이나 여러 사정을 알 수 있도록 했다는데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한글날의 시초는 1926년 음력 9월 29일로 원래는 '가갸날'이라 불렀으나 1928년 한글날로 고쳐불렀다.

광복 후 10월 9일로 날짜를 확정하였으며 2006년부터 국경일이 되었다고 한다.

 

 

 

국보 제70호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훈민정음

 

훈민정음에는 해례본과 상주본 등 여러가지 호칭이 붙으나 상주본이라는 건 원래 없던 말이다.

해례본은 세종 28년인 1446년 반포할 당시 훈민정음의 28자를 찍어 낸 판각 원본을 가리킨다. 창제의 취지를 적은 어제 서문, 자음과 모음의 음가와 운용법을 설명한 예의, 훈민정음을 해설해 놓은 해례 그리고 정인지 서로 구성되어 있다.

국보의 정식 명칭이 훈민정음으로 해례본으로 현존하는 것은 안동본과 상주본이 있다.

다만 이는 발견 된 지역명을 붙여 구분하기 편하도록 한 것일 뿐, 정식 명칭은 아니며 정식명칭은 오직 ' 훈민정음 해례본 '이라고 한다.

 

 

 

훈민정음 주해본 ( 訓民正音註解本), 해례본은 원래 한문으로 적혀있어 한글로 번역해 놓은 것이 주해본이다.

 

 

1940년대 경상북도 안동지역에서 발견 된 해례본은 최초로 발견 된 해례본이며 간송 전형필 선생이 이를 입수하여 현재는 간송미술관에 보관하고 있다. 또 하나의 해례본은 상주에서 발견됐다고 해서 상주본이라 부르지만 우리가 잘 아는 소유권 분쟁이 있으며 일부는 관리 소흘로 인해 불에 타 훼손상태가 심각하다고 한다.

 

 

 

한글을 만든 성군으로 추앙받고 있는 조선 4대 임금 세종대왕 동상

 

 

 

| 전 세계적으로 자국 언어와 글자를 가진 국가는 10개국 정도, 우리의 한글을 제대로 사용해야겠다

 

언어와 글자를 가졌다는 건 굉장한 일이다. UN에 가입한 전 세계 국가들 중 자국의 언어와 글자를 가진 나라는 불과 10개국도 채 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 나라들 중 대한민국이 있는 것이니 이는 실로 대단한 업적이라 할 수 있다.

더욱이 소리 나는대로 표기와 발음이 가능하니 그 우수성이야 말로 두 말하면 입 아플 지경이다.

 

우리나라도 교육 수준이 높아지고 해외여행의 빈도가 늘다보니 외국어를 1 ~ 2개정도 구사하는 분들이 많아졌다.

또한 교과목에서도 영어, 일어, 불어, 중국어 등 외국어 교육을 많이 진행한다. 국제 사회이다 보니 외국의 언어를 익히는 것은 당연하다.

 

다만 외국어를 사용함에 있어 읽지 못하거나 뜻을 모르거나 표기나 발음이 틀렸을 때 우리는 이를 매우 부끄럽게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 외국어이기 때문에 모를 수도 있고 실수할 수도 있음에도 이를 창피하게 여기는데 정작 자국어인 한글에 대해서는 관대하다. 상식적으로 보면 자국어를 틀렸을 때 이를 부끄럽게 여겨야 함에도 우리는 외국어는 부끄럽게 여기면서 한글을 잘못 사용했을 때는 " 그럴 수도 있지~ "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는 정말 부끄러운 것이다.